본문 바로가기
알면 좋은 정보

금 1돈 금액은 얼마일까?

by 다콩 정보, 건강 이야기 2025. 6. 24.
반응형

금반지
금반지

금 1돈이란 무엇이며, 실제 무게는 얼마나 되고 가격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금 1돈의 개념부터 시세, 그리고 실제 구매 시 참고해야 할 계산법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금을 처음 접하는 분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명확하게 설명드릴게요. 금은 오랜 세월 동안 귀중한 자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현재도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금의 무게 단위로 '돈(丹)'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특히 '금 1돈 가격'은 많은 사람들에게 실생활 속에서 자주 언급되는 주제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금 1돈의 금액이 얼마인지, 어떤 요소에 따라 달라지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금 1돈은 몇 그램인지 무게와 단위를 정확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돈’은 한국 전통 단위로, 현재도 귀금속 거래 시 자주 사용됩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1돈'은 3.75그램에 해당합니다. 정확히는 1냥이 37.5g이고, 1냥은 10돈이므로 1돈은 3.75g입니다. 이는 전통적인 단위로, 금 거래 시에도 여전히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결혼 예물, 돌반지, 환갑 선물 등을 준비할 때 1돈 단위로 금 가격을 묻는 일이 많습니다. 이 단위는 귀금속 거래, 특히 금거래에서 널리 사용되며, 금반지나 목걸이 등의 장신구 구입 시도 “몇 돈짜리인가요?”라는 표현을 씁니다. 예를 들어, 5돈짜리 금반지라면 18.75g(3.75g × 5)의 순금을 사용한 것입니다. 금 1돈은 g 단위의 국제 표준과 다르기 때문에, 금 시세를 확인할 때 g당 가격을 먼저 체크하고, 이를 3.75배 하면 1돈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 가격을 계산하거나 비교할 때 단위 환산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 1돈 금액 얼마인가요? (2025년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년 7월 기준, 국제 금 시세와 국내 환율을 반영한 순금 1g 가격은 약 95,000원 선입니다. 이 기준으로 금 1돈(3.75g)은 약 356,250원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실제 매장에서 금반지나 목걸이 등 제품을 구매할 경우, 공임비(제작비)와 세공비, 부가세가 추가로 붙습니다. 그래서 실거래가는 1돈당 약 40~42만 원선에서 형성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금은 실시간으로 시세가 변동되기 때문에 구매 시점의 금값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 시세는 한국금거래소, 한국조폐공사, 금거래 앱 등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금액의 기준으로 1돈 금액 계산 방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 1돈을 구매하려 할 때는 단순히 ‘g당 가격 × 3.75’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아래와 같은 항목이 함께 적용됩니다.

  1. 순금 가격: g당 시세 × 3.75g
  2. 세공비: 제품 디자인, 작업 난이도에 따라 다름
  3. 공임비: 제조 공정비 (보통 2~5만 원)
  4. 부가세: 총액의 10%

예를 들어 순금 시세가 1g당 95,000원일 때,

  • 금액 = 95,000 × 3.75 = 356,250원
  • 공임비 = 30,000원
  • 부가세 = (356,250 + 30,000) × 0.1 = 38,625원
  • 총 가격 = 약 424,875원

이처럼 금을 구매할 땐 순수한 금값 외에도 다양한 비용이 포함되기 때문에 반드시 총금액을 미리 확인하고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금 제품도 금 1돈 가격에 포함되나요?

  • 도금은 값싼 금속(예: 동, 은, 스테인리스 등)에 얇은 층의 금을 입힌 처리 방식입니다.
  • 겉보기에는 금처럼 보이지만, 내부는 금이 아니기 때문에 무게 기준으로 금 1돈으로 계산하지 않습니다.

도금 제품은 금이 얇게 입혀진 것일 뿐, 전체 무게에 금이 3.75g 들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도금 제품은 금 1돈과는 전혀 다른 가격 체계를 가집니다. 도금은 금 함량이 극히 적기 때문에 순금 가격의 1/10 이하에 거래되기도 하며, 이는 금 시세에 따라 크게 좌우되지 않습니다.

  • 도금 제품은 겉에만 금이 있어 제조비용이 낮고, 재판매 시 금으로 평가되지 않습니다.
  • 중고 금방에 가져가도 "금값"으로는 쳐주지 않고, 대부분 장신구 폐기물로 분류되거나 아예 매입 거부됩니다.

세공비와 부가세는 어떻게 계산될까요?

금반지나 목걸이처럼 제품 형태로 구입할 경우에는 세공비(제작 비용)부가가치세(10%)가 추가로 붙습니다. 예를 들어, 순금 1돈 시세가 44만 원이라면, 세공비가 3만 원, 부가세가 총금액의 10%라고 가정할 때 최종 구매가는 약 52만 원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실제 금값 외에도 부가 비용을 함께 고려해야 정확한 가격 판단이 가능합니다.

금 시세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금 시세는 한국금거래소, 한국귀금속보석단체장협의회 등에서 매일 갱신되는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시세를 참고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며,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할 때는 전화로 가격을 미리 문의하는 것도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금 1돈의 금액은 단순히 시세뿐 아니라 순도, 형태, 세공 여부에 따라 달라집니다. 순금 기준으로는 40만 원대 중반이 일반적이며, 도금 제품이나 세공된 제품은 전혀 다른 가격 구조를 가집니다. 금을 구매할 때는 이 모든 요소를 꼼꼼히 확인한 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 구입 시 합리적으로 구입하실 수 있도록 꼼꼼하게 살펴보셔야 합니다.

금 1돈은 3.75g으로, 2025년 7월 기준 약 35만 원 중후반에서 거래됩니다. 하지만 실제 구매 시에는 공임비, 세공비, 부가세가 더해져 약 42만 원 선까지 오를 수 있습니다. 단위 환산법과 시세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금을 구매하면 더욱 합리적인 재테크가 가능합니다.

반응형